한국이야기/전북

전북 군산 임피역사

호구시절 2014. 3. 24. 10:30

일제 강점기의 역사 현장인 임피역...

 

 

 

2008년부터 여객수송이 중단된 임피역의 역사와 부속 건물을 고치고 관광지 조성사업을.

 

 

1936년 일제강점기 때 일본이 호남평야의 쌀을 일본으로 반출하기 위해 건립한 임피역...

 

 

부산 베이징간 직통 급행열차가 운행을 시작한 건 1939년이다...

 

 

우리나라에서 철도는 근대 문명과 함께 일제 수탈의 역사를...

 

 

우리 식량과 광물이 대거 일본으로 실려 건너갔다. 대륙 침략의 병참로 역할도...

 

 

제 1열차와 제 2열차인 흥아호가 부산~북경을 왕래했고 제 3, 제 4열차인 대륙호가 부산~하얼삔을...

 

 

부산에서 북경까지는 2박3일이나 걸렸다고 한다.

 

 

우리나라 최초의 열차 이름은 모갈 1호. 1899년 노량진-제물포간 경인선이 최초 개통...

 

 

1906년 경부선은 순종의 연호를 따 융희호라 불렸다...

 

 

한일 합방 후에는 경부선은 히카리호, 아카스카호라는 일본식 이름으로...

 

 

모갈 1호는 목제 객차 3량을 연결하고 시속 20~30킬로미터로 운행...

 

 

융희호는 서울로 향하는 열차를 융호, 부산으로 향하는 열차를 희호라고...

 

 

경인철도가 개통된 때는 처음으로 화륜차가 운전된다고 각처에서 구경꾼들이 정거장, 선로에 몰려 열차 운행에 큰 지장을...

 

 

더욱이 배일 감정이 심한 때였으므로 의식적으로 방해하는 행위가 많았다고...

 

 

여름철에는 철길에서 낮잠을 자거나 돌이나 장애물을 철길에 올려놓고 열차에 돌을 던지기도 하고 무임승차도...

 

 

방책으로 로선순사를 고용. 잡힌 사람은 태형으로 혼을 내주기 때문에 순사만 보면 도망쳤다고...

 

 

노조미는 희망이라는 뜻...

 

 

1935년 동아일보 기사에는 '경부선에는 당분간 임시열차를 운전' 이라는 기사가...

 

 

'철도국에서는 최근 일본내지에서 조선으로 오는 손이 점점 만허서 봉천행 급행 제7렬차 노조미호는 연일 만원을 이루워

 

 

오는 20일부터 당분간 부산 오전 7시발 경성 오후 3시착의 임심 급행열차를 운전하여 여객의 편의를 도모하게되엇다.'

 

 

히카리호에 대한 정보는 하나도 없다... 현재 일본에 신간센의 이름이 노조미와 히카리로 되어 있는 것이 재미있는데...

 

 

아카쓰키호에 대해서도 찾아보니 그저 일본의 플루토늄을 실은 수송선의 이름으로 나올 뿐...

 

 

임피역에는 정오를 알리던 철탑 형태의 오포대가 가동된다고...

 

 

1950년대 초반 주민들이 십시일반 성금을 모아 비상소집용으로 세워진 것.

 

 

 

 

 

 

 

 

 

 

 

 

 

 

 

 

 

 

 

 

 

 

 

 

 

 

 

'한국이야기 > 전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북 군산 근대역사박물관 재방문  (0) 2014.08.04
전북 김제 금산사  (0) 2014.07.04
전북 익산 왕궁리 유적  (0) 2014.03.06
전북 군산 발산리 석등, 오층석탑  (0) 2014.03.05
전북 남원 실상사  (0) 2014.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