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각. 1972년 세워졌다고 한다. 망배단이 있고 1953년 세워진 자유의 다리가 있다. 휴전 협정 이후 포로가 귀환한 다리.
경의선의 실질 종착연은 임진강역이라고...
도라산역이 경의선이 종착역. 출발만 도라산역에서 한다고...
원래 이름은 임진각역이 아니라 임진강역.
망향의 노래비는 광복 50주년을 맞아 1995년 세운 것.
임진강은 탕문화의 요람이라고 한다. 황복은 옛날 임금의 수라상에 올랐던 귀한 음식으로 회, 짐, 지리로 먹는다고...
지하벙커 전시관은 경기 관광 활성화 우수사례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았다고...
경의선 장단역 증기기관차는 한국전 당시 연합군 군수물자 수송을 위해 개성역에서 황해도 한포역까지 올라갔다 전세가 악화되어 남쪽으로 내려오던 중 장단역에서 피폭되어 탈선, 그 자리에서 멈춰선 기차.
부식된 채로 반세기 넘게 비무장지대 안에 방치되어 있었고 문화재청이 등록문화재로 등록...
다른 사이트에서는 신의주로 향하던 중 폭탄을 맞아 그 자리에 멈춰섰다고 하며...
중공군에 밀려 장단역까지 내려왔다가 결국 후퇴하던 연합군이 북한군에 이용될 것을 우려하여 폭파하면서 화통만 남았다고...
임진각으로 옮겨진 것은 2007년.
또한 장단역 터도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한국전 이전에는 역 주변에 금융조합을 비롯 가종 상가가 집중되어 있었다고...
임진각도 중국의 여유법이 가동되면서 많이 중국인 관광객이 줄어들었다고 하는데...
경의선은 서울과 신의주를 잇는 복선철도. 길이는 518킬로미터. 1906년 개통. 2000년 남북정상회담에서 경의선 복원 사업이 논의되었고 2003년 연결식도 열렸다고...
1896년 프랑스 회사가 경의철도 부설권을 얻었으나 자금조달 관계로 공사에 착수하지 못하고 1899년 부설권이 소멸...
결국 일본인에 의해 군용철도 부설을 위한 임시 군용철도감부가 설치되고 한국 주개 일본군 사령관 예하에 전속시켜 군사 목적을 드러내게 되었다고...
1908년 직통 급행열차인 융희호가 운행. 그 후 중일전쟁을 계기로 복선화 진행...
융희호는 경부선과 경의선이 연결되어 947킬로미터를 종단하게 되었고 1911년 압록강 철교가 준공되어 중국 장춘까지 이어졌다...
장춘까지 이어진 것은 일본이 만주로 화물 운송을 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관부연락선의 발착시간에 맞춰 편성되고, 부산의 발착지는 부산역이 아닌 관부연락선의 접안시설인 잔교라고...
융희호는 순종 황제의 연호를 따라 상행선은 융으로 하행선을 희라고 구별해 부르는 독특한 작명법을 보여주었다...
1933년에는 부산~선양, 1939년에는 부산~베이징 간 열차가 운행되기 시작했다...
융희호의 시속은 40킬로미터. 속도는 공간을 소멸시킨다고 했나...
1962년 동아일보에는 부서진 임진강교불하라는 기사도 있다...
임진강철교가 십여년동안 폐허로 있다가 복구될 기약없이 잔해가 고철로 불하된다는...
450미터의 임진강철교는 휴전선 남쪽 8킬로미터 지점에 있고 1.4 후퇴 때 폭격으로 부서져 파철이 강물 속에 잠겨있다고...
파철량은 모두 1300톤쯤... 고철로 불하하면 1천여만원...
일제가 기울어진 왕실을 위협하여 경의선을 부설하고... 8.15 직후 남북이 양단되면서 경의선이 막혔다가 9.28 수복 때 잠시 서울에서 평양까지 기차가 통했다...
언제 임진강 철교가 복구되어 다시 남북으로 기차가 통할 수 있을지 무심한 강물이 알 턱이 없다...는 말로 끝맺는 기사.
자유의다리는 원래 마을 이름을 따서 독개다리라고 불렸다는데... 7.4 공동성명 이후 남북회담 대표들이 지나다닌 길목이었다...
1971년 동아일보를 보면 자유의 다리에 조망대세우라는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다고 전한다...
당시에 대통령이 서울~문산간 고속화도로의 개통식에서 문산의 자유의다리 앞까지 왔다고...
대통령은 국민의 평화통일 의지를 집약시킨다는 취지로 '통일로'라 명명했다고...
대통령이 경기도지사에게 실향민들이 잃어버린 선영에 절이라도 할 수 있도록 자유의다리 앞에 조망대를 만들어 주라고 지시...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에는 적군묘지가 있다고 한다. 6.25 직후 전국에 산재해 있는 것을 정부가 1996년 지금 위치에 모았다고.
적국이라도 정중히 매장해 분묘로 존중해야 한다는 제네바 협졍에 따랐다... 북한군 718구, 중국군 362구가 안장.
1968년 1.21 사태 때 사살된 무장공비 30명, KAL858기를 폭파하고 자살한 김승일, 1998년 남해 침투 공작원 6명도 있다...
처음에는 흰색 푯말로 묘비를 세웠으나 적군묘지를 찾는 중국인 참배객이 늘어 비석을 세우고 새롭게 단장했다고...
안보관광지도 운영되고 있는데 DMZ 연계, 판문점 투어, 전망대 관람 등으로 구분...
DMZ 연계 관광은 임진각 매표소에서 셔틀버스를 타고 코스에 따라 제3땅굴, 도라전망대, 허준 묘역 등을 투어...
내.외국인 관광객이 가장 많이 찾는 코스...
미카형 증기기관차는 일본어로 황제라는 단어의 음절에서 이름이 유래...
1919년 미국에서 미카 1형과 미카 2형을 수입해 경의선에 투입. 한국산 갈탄을 사용하려고 개량... 1927년부터 경성공장에서 한국형인 미카 3형을 생산해 화물용으로 사용...
미카 3형은 전국에 4대가 남아 있다고 한다...
평화누리공원은 2005 세계 평화축전을 계기로 임진각 관광지 내 광활한 잔디언덕에 조성한 복합문화공간...
눈이 내려 눈썰매장으로 변신하여 아이들이 무척 신나게 놀고 있다...
날씨도 많이 춥지 않아 즐기기에 좋은 날이었다...
어서 좋은 날이 오기를...
'한국이야기 > 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 용인 황소곳간 (0) | 2014.01.02 |
---|---|
경기 여주 고달사지 (0) | 2014.01.01 |
경기 용인 동도사와 이동저수지 3 (0) | 2013.12.25 |
경기 안성 미리내성지 4 (0) | 2013.12.21 |
경기 용인 마 농 탄토 2 (0) | 2013.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