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주사 범종은 국보. 고려 전기의 동종으로는 드물게 보는 거종이라고... 1964년 국보 지정. 무게가 1.5톤이라는데 생각보다 무겁다.
2012년 경기일보 기사를 참조하면 한국의 범종은 독자적인 양식을 가진다고... 많은 한국종이 일본에 반출되어 일본 국보로 지정된 것만 20여 개라고...
종은 법고, 운판, 목어와 함께 불교 사물 중 하나로 지옥의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소리를 내는 도구라고...
몸체에 새겨진 비천상과 삼존상. 성덕대왕 신종과 비슷한 조각 양식으로 신라 종의 양식을 매우 충실하게 계승하고 있다고...
오대산 상원사종, 성덕대왕 신종과 더불어 한국의 3대 범종으로 일컬어지는 고려 종의 걸작이라고...
종 위에는 우리나라 종에만 유일하게 만들어지는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이 있다고 한다.
대웅보전 앞마당. 대웅보전에는 목조삼세불좌상이 있는데 전라, 강원 등 세지역의 대표적인 조각승이 모여 제작한 조선 후기 불교 조각의 작품을 장식하는 불상...
대웅전은 사찰내에서 중심되는 부처님을 모신 건물. 석가모니불을 봉안한 곳을 가리킨다고... 법화경에서 석가모니를 부를 때 대영웅 석가모니라 하고 줄여서 대웅이라고 하기 때문...
용주사는 대영웅 석가모니불을 모신 보배로운 전각이라는 뜻에서 대웅보전이라고 했다고...
삼존불상 뒤에는 세울 당시 그린 석가모니불, 아미타불, 약사불의 삼존불화가 있다. 조선 후기 불화로서 독특한 음영법을 사용한 경우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보이는 특징.
용주사 대웅전 후불탱화는 김홍도가 그린 원래 후불탱화가 아닌 조선 말에 이를 보고 다른 화승이 새로 그린 그림으로 추정된다고...
'한국이야기 > 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 안성 미리내성지 (0) | 2013.12.01 |
---|---|
경기 용인 동도사와 이동저수지 (0) | 2013.11.30 |
경기 용인 호암미술관 2 (0) | 2013.11.24 |
경기 화성 용주사 2 (0) | 2013.11.19 |
경기 용인 호암미술관 (0) | 2013.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