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야기/경기

경기 화성 용주사 2

호구시절 2013. 11. 19. 09:33

홍살문을 지나 삼문으로... 출입문이 세 개라 삼문인데 보통 절에서는 볼 수 없는 양식. 왕실 사찰이었기에 가능했다느... 그런데 1960년대에 촬영된 삼문을 보면 가운데 문만 문이고 좌우의 문은 벽으로 되어 있다...

 

 

 

삼문 앞에는 해태상이 자리잡고 있고... 삼문을 통해 들어서자 석탑이 하나 서 있는데 아무런 설명이 없다. 능사란 왕이나 왕비의 능 근처에서 능침을 수호하고 명복을 비는 제를 지내기 위해 세운 사찰...

 

 

조선시대에 모두 11곳이 세워졌는데 용주사와 광릉의 봉선사, 영릉의 신륵사, 정릉의 봉은사가 대표적... 용주사는 1790년 2월에 공사를 시작해 불과 7개월 만에 사찰 짓기를 마무리... 정조가 용주사에 공을 많이 들였음을 알 수 있는...

 

 

이 탑은 천보루 오층석탑이라고 하니 검색이 뜬다. 1702년 부처님 사리 2과를 사리병에 모셔 이 석탑 안에 안치했다고... 천보루는 대웅보전 안마당으로 들어가는 문루.

 

 

천보루 역시도 많은 설명이 없어서... 커다란 6개의 높은 초석은 사찰에선 드문 형식으로 궁궐 양식과 유사하다고...

 

 

천보루에서 바라본 삼문과 석탑...

 

 

대웅보전. 안에 후불탱화가 있는데 우리나라 탱화 가운데 유일하게 서양화의 음영법을 도입하여 그렸다고 한다.

 

 

대웅전 편액은 정조의 친필...

 

'한국이야기 > 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 화성 용주사 3  (0) 2013.11.25
경기 용인 호암미술관 2  (0) 2013.11.24
경기 용인 호암미술관  (0) 2013.11.17
경기 화성 용주사  (0) 2013.11.15
경기 용인 장욱진고택  (0) 2013.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