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명칭은 청주 상당산성.
사적 제 212호.
백제 때 이미 이 곳에 토성이 있었던 것으로 짐작...
삼국사기에는 통일신라 초기에 서원술성을 쌓았다는 기록도 있다고...
상당이란 이름은 백제 때 청주목을 상당현이라고 부르던 것에서 유래...
숙종 때 돌성으로 다시 쌓았다고...
1985년 7월 18일 경향신문에 보면...
'그 터'라는 컬럼의 최영희 교수의 한국사기행이다...
백제 최후의 보루 청주 상당산성...
삼남의 요충...둘레 3.8km, 성내엔 구룡사. 승군 창고도...
고려사 지리지는 청주목은 본래 백제의 상당현이다. 신라 신문왕 5년에 처음으로 서원소경이 설치되고
경덕왕 때 서원경으로 승격하였다. 고려태조 23년에 청주로 고쳤다. 라고 청주의 연혁을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삼국사기와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청주의 본 지명은 비성, 낭비성, 자곡, 낭자곡이라고도 하였다.
그런데 안정복은 동사강목에서 낭자곡성을 충주로 추정했고 김정호는 대동지지에서 청주는 본래 백제의
상당이다.
삼국사기 백제지지에 서원현(청주)이 낭자곡성 또는 낭비성이라고 한 것은 모두 잘못이다.
낭자곡성은 오늘의 충주이고 낭비성은 고증할 수가 없다...고 하여 낭비성은 청주가 아니라 충주라고
단언하였다.
근래 한국사학계에서는 낭자곡성이 충주였다는 설이 유리해지고 있다. 그런데 충청일보 이재준 부장은
나에게 상당산성 동쪽에 주민들이 낭비성 또는 남비성이라 부르는 산성이 있다고 가르쳐 주었다.
낭자곡성 낭비성의 위치가 중요한 것은 백제 고구려 신라 3국이 영토를 확장하기 위해 혈전을 벌인 곳이고
진흥왕과 우륵의 관계, 김유신장군의 분전지로서 고대 한국사의 실마리를 풀어주는 곳이기 때문이다.
청주는 본래 백제의 상당현이었고, 상당산성이 청주에서 동으로 7.5km에 있다. 청주지역에는 조선시대
문헌에 남아있는 산성으로는 상당산성 외에 부모성, 산성(이름없음), 저산성, 미륵산성, 구라산성이 있다.
그중에서 청주의 산성으로서 조선말기까지 그 기능을 계속한 산성은 상당산성 뿐이다. 동국여지승람은
상당산성을 옛상당성(고상당성)이라 하고 성은 석축으로 둘레가 7천7백73척이다.
성안에 12우물이 있었는데 지금은 폐지되다 라고 설명한 것으로 보아 이 산성이 고려 이전에 쌓은 것을
알 수 있다.
근자에 상당산성 남문밖 유적지에서 사훼부속장지일이라는 명문이 있는 기와가 발견되었다. 사훼부란
신라 6부의 하나로 신라 서원경의 치소가 여기가 아니었던가라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상당산성은 고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청주의 보루인 산성이었다. 조선 숙종조에 세워진 상당산성
안에 있던 구룡사의 사적비에 옛 성을 개축하다. 이곳은 삼남의 요충지로서 라는 글이 있다.
상당산성은 삼남의 요충지였으며 더우기 서쪼겡서 침입하는 서구에 대비하는 성이었다.
상당산성은 조선조때에 여러번 개축되었는데 임진왜란중에 이순신과 사이가 좋지 않던 원균이
임진왜란 중에 충청병사로 있으면서 수축한 적이 있고 숙종 46년 이인좌의 난 때는 이 성에서 이순신의
5대손인 충청병사 이봉상이 이인좌의 군사와 싸우다가 전사한 이상한 인연이 있는 성이다.
상당산성에는 남, 동, 서의 3문이 있고 수문과 비밀통로인 암문과 동장대 서장대가 있었으며 성안에는
산성의 지휘관인 우후가거처하는 동헌과 여러 부속건물, 창고, 그리고 구룡사와 남악사, 승군창고가
따로 있었다.
상당산성 안에 절을 세운 것은 산성을 수축할 때에 승군이 동원돼었고 승군이 산성에 상주했기 때문이다.
상당산성 지표조사단이 구성되어 그 보고서가 1982년에 출간되었는데, 산성을 보기 위해 찾았을 때
산성 내에 몇 채만 새로 짓는다던 한옥이 음식점으로 불어나서 마치 위락단지와 같은 양상이었다.
관광지 개발과 번영이란 뜻이 있을지는 모르나 오히려 유적지를 해치는 역효과로서 어느 때는 후회할
날이 있을 것이다.
상당산성에서 가장 높은 곳이 서문이며 절승의 곳이다. 서문에서 내려다보면 넓은 들이 보이는데 이 일대가
장차 청주국제공항이 되는 곳이다. 이 곳 지명은 예부터 청원군 북일면 비상리 비중리, 강서면 비하리이다.
날아오르고 날아내리는 마을 이름의 뜻이 바로 비행장이 되리라는 예언이었다.
'한국이야기 > 충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성 미타사 (0) | 2011.11.13 |
---|---|
청주 국립청주박물관 (0) | 2011.10.31 |
음성 감곡성당 (0) | 2011.10.01 |
청주 운보의 집 (0) | 2011.09.17 |
음성 - 한독약품 의약박물관 (0) | 2011.08.31 |